728x90
반응형
1. 가상메모리
- 가상 주소와 물리 주소를 분리하여 실제 사용하는 메모리만 물리주소에 할당하는 기술
- 물리메모리의 크기와 상관없이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기술
- 가상 메모리 시스템은 메모리 주소 0번지 부터 시작하는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, 메모리 관리자(MMU)가 사용할 수 있는 가상 메모리의 전체 크기는 물리 메모리 (실제 메모리) + 스왑 영역 이다.
- 프로세스는 가상주소를 사용하고 CPU에게 가상주소만 알려준다.
- CPU에서 코드 실행 시 또는 가상 주소 메모리 접근 필요시, 가상 주소를 실제 메모리의 물리주소로 변환해주는 하드웨어 장치가 필요 => MMU (Memory Manage Unit) 의 동적 주소 변환 (DAT : Dynamic Address Translation)
2. 페이징 시스템 (Paging System)
- 고정분할 방식을 이용한 가상 메모리 관리 기법이다.
- 물리 주소 공간과 가상 주소 공간을 모두 동일한 크기로 나누어 사용
- 가상 주소의 분할된 각 영역을 페이지라고 한다.
- 물리 주소의 분할된 각 영역을 프레임이라고 한다.
- 페이지 테이블 : 어떤 페이지가 어떤 프레임에 있는지에 대한 연결(매핑)정보 저장 테이블
- 만약 페이지에 해당하는 물리 메모리가 없으면 페이지 테이블에 invaild 표시
- 해당 페이지가 스왑 영역에 있다는 의미이다.
- 만약 페이지에 해당하는 물리 메모리가 없으면 페이지 테이블에 invaild 표시
반응형
'Knowledge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운영체제 구조 (1) | 2024.01.26 |
---|---|
MMU와 TLB (1) | 2024.01.26 |
데드락(Deadlock) (0) | 2024.01.23 |
뮤텍스와 세마포어 (0) | 2024.01.23 |
스레드 동기화 (Thread-Synchronization) (0) | 2024.0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