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1. 메모리 계층 구조
메모리 관련 3가지 주요 특성인 용량, 접근 속도, 비용 간의 관계를 파악해 필요에 따라 채택할 수 있게 나타낸 구조이다. 보통 CPU를 기준으로 접근이 빠른 순서대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.
기본적인 저장매체를 기준으로 메모리 계층은 레지스터, CPU 캐시, 메모리, 하드디스크 또는 SSD 순으로 표현된다.
명칭 | 위치 | 접근 속도 | 설명 |
레지스터 | CPU 내부 | 빠름 | CPU 내부의 작은 메모리로, 휘발성이며 속도가 가장 빠르고, 기억 용량이 가장 적다. |
캐시 | CPU 내부 | 빠름 | L1,L2,L3 캐시를 지칭하고, 휘발성이며, 속도가 빠르나 기억 용량이 적다. |
주기억장치 (메모리) |
CPU 외부 | 레지스터와 캐시보다 느림 | RAM을 지칭하고, 휘발성이며, 속도와 기억 용량은 보통이다. |
보조기억장치 (디스크) |
CPU 직접 접근 불가 | 데이터를 메모리로 이동시켜 접근 가능 | HDD, SDD를 지칭하며, 비휘발성이다. 속도는 낮으며 기억 용량이 많다. |
RAM은 하드 디스크로부터 일정량의 데이터를 복사하여 임시 저장하고, 이를 필요 시마다 CPU에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.
반응형
'Knowledge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CP 와 UDP (0) | 2024.02.05 |
---|---|
내부 단편화 & 외부 단편화 (0) | 2024.02.05 |
가상 파일 시스템 (VFS) (0) | 2024.02.05 |
inode 파일 시스템 방식 (0) | 2024.01.30 |
JPA & JDBC (0) | 2024.01.27 |